전체 글

공유 문화가 좋아 운영하는 블로그입니다. 개발, 컴퓨터 활용법, 기술/자기계발 도서의 서평을 주로 다룹니다.
심층적인 분석을 남기기 전 본 최신판에 대한 간략한 이야기로 시작해보고자 한다. 딥러닝의 정석(2판), 1판과의 달라진 점은? 2판이 새롭게 출시된 것이므로 달라진 점을 안보고 지나칠 수 없었다. 1판 대비 광범위한 수학적 배경 지식, 특히 선형대수학과 확률론에 관한 내용을 제공하여 향후 학습할 내용에 대비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이 책의 전체 구성을 보고 느낀 바는? 정석이라는 이름답게 딥러닝 학습을 위해 필요한 수학적 지식을 시작으로 각 딥러닝 모델에 대한 내용이 폭넓게 제공되어 있어 좋았다. 합성곱 신경망에만 치우치지 않고, Tensorflow 라이브러이에서 Pytorch 라이브러리로 트렌드가 변화한 것에 맞추어 Pytorch 라이브러리에 대한 설명, 순방향 & 합성곱 신경망에 대한 설명..
‘디자인’, 유치원만 나와도 다들 한 번쯤 크레파스나 색연필을 잡고 여러분의 상상의 날개를 펼처본 적이 있을 것이다. 물론 학년을 거듭할수록 성적이라는 장치로 인해 ‘디자인’ 본연의 즐거움이 퇴색되어 버렸을 수도 있다. 우리는 ‘디자인’ 속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침에 눈을 떠서 바라보는 나의 방도 하나의 ‘공간 디자인’이며, 휴대폰 속의 화면들도 ‘UX/UI 디자인’ 이다. 이처럼 우리는 ‘디자인’과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본능적으로, 이러한 ‘디자인’ 감각이 뛰어난 사람들은 색 조합에 능하다. 물론 필자는 그렇지 못하다. 그래서 더욱 ‘디자인’ 스킬을 발전시키고 싶었다. “그냥 살면되자나” 라고 한 소리 하시는 독자분도 계실 수 있다. 하지만, IT 서비스 기획 쪽에 관심이 많..
여러분은 하루에 얼마나 ‘휴대 전화’를 사용하시나요? 로 오늘의 글을 열어보고자 한다. 필자는 평일은 1~2시간, 주말은 거의 30분 이하로 내려온다. 나도 옛날에는 정말 휴대전화랑 연애를 하는 것처럼 하루종일 들여다 보았다. 이때 당시 가장 많이 보았던 것은 마성의 앱 ‘Facebook과 Instagram’ 이었다. 누군가 글을 올리면 좋아요나, 하트를 눌러야 겠다는 생각, 댓글을 달아야 겠다는 생각에 하루를 보냈다. 해외봉사를 하던 무렵, 모두가 ‘Facebook’하고 ‘Messenger’를 통해 소통했는데, 어느 날 바다를 보면서 퇴근을 하면서 문뜩 이런 생각이 들었다. 휴대 전화가 나를 사용하는 걸까? 내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걸까? 마치 나는 휴대전화의 노예와 같다는 생각이 머리 속을 스쳐 지나..
Next.js 란 무엇인가? 프론트엔드 직군에 취업 준비를 위해 여러 JD를 보다보면 Next.js 보인다. 나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 React를 처음 배울 때만해도 어려웠는데, 이제는 Next.js까지 배워야 하는 것일까? 그래서 Next.js에 대해 더 알아보고 그 필요성에 대해 제고해보기로 했다. 물론, 이 글을 작성하기 전 여러 번 시도해보았다. Next.js를 공부하기 위해… 하지만, 그 필요성이 느껴지지 않아 매번 그 시도는 무마되었다. 그래서 글을 통해 필요성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정의 Nextjs.org 공식 홈페이지에 가면 아래와 같이 나와 있다. React를 위해 탄생한 프레임워크이다. React는 JS의 라이브러리에 지나지 않는다. 쉽게 말해 Next.js 는 React의 발전형, ..
‘경제적 자유’를 꿈꾸며 나도 이 블로그를 시작했다. 학업에 몰두한다는 핑계로 한동안은 글쓰기 잠시 멈추기도 했다. 최근 들어 다시 독서와 글쓰기를 시작하면서 글을 남기고 있다. 옛날에 내가 작성한 글들을 보면 단순히 수익을 목적으로 한 글, 호기심을 끌려고 애쓴 글 등 다양한 글들이 내포하고 있다. 지금에서 돌이켜 생각해보면, 낯뜨겁고 유치하면서도 글에 나만의 내용이 담겨 있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다. 시간이 날때면 이러한 글들을 초고라 생각하고, 다시 한번 작성해보기도 한다. 이처럼 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꾸었다. 내가 굳이 일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돈이 벌리는 구조를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오늘은 유튜브에서 한창 화제가 되었던 자청님의 ‘역행자’라는 책의 확장판을 읽게 되었다. 여느 다른 책과는..
01장. 딥러닝 한눈에 살펴보기 인공지능 강 인공지능: 사람처럼 모든 문제에 대해 해결 능력을 갖춘 지능 약 인공지능: 특정한 문제에 대해서만 해결 능력을 갖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입력 데이터를 이용해 알지 못하는 변수를 반복적으로 학습해나가면서 예측하는 알고리즘 시행착오를 겪으며 성장하는 기술, 기계학습 = 머신러닝 딥러닝: 인공 신경망을 사용한 머신러닝 알고리즘 지도 학습: 데이터에 정답 데이터를 제공하는 학습 방법 비지도 학습: 데이터에 정답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학습 방법 강화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인공지능이 스스로 시행착오를 겪으며 성장하는 학습 방법 딥러닝 문제 해결 프로세스 문제 정의 데이터 수집 데이터 가공 딥러닝 모델 설계 딥러닝 모델 학습 성능 평가 순서 딥러닝 문제 해결 ..
알아가기 | Information husky: git hook를 편리하게 해주는 도구 사용 목적: eslint와 prettier를 git commit 전에 실행 시켜서, 전체 코드 스타일을 맞추기 위함. 에러 발생 | Problem 패스트캠퍼스의 Next.js 강의 5. Final Project: 커머스 서비스 만들기 / Ch01. 개요 / 02. 프로젝트 생성 및 환경 설정 실습 진행 중 이러한 에러가 발생했다. 어떠한 에러일까... 며칠을 고민해보아도 명령문을 실행하지 못하는 것은 같았다. 끝내 새벽을 맞이한 끝에 아래와 같이 2가지 해결방법 중 2번째 안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다. 문제 해결 | Solution 해결 방안 1. 필자는 이 방법으로 해결이 되지 않았다. Step - 1: Delete ..
Chapter 09 텍스트를 위한 인공 신경망 ▶ 한빛 마켓의 댓글을 분석하라! 09-1 순차 데이터와 순환 신경망 ▶ 순차 데이터의 특징과 개념 이해하기 학습 목표 순차 데이터의 특징을 알고 순환 신경망의 개념을 학습합니다. 순차 데이터 순차 데이터(sequential data) 단어의 순서 중요 시계열 데이터(time series data) 일정한 간격으로 기록된 데이터 피드 포워드 신경망(feedforward neural network, FFNN) 입력 데이터의 흐름이 앞으로만 전달되는 신경망 ex. 완전 연결 신경망 & 합성곱 신경망 순환 신경망 데이터 재사용 必 순환 신경망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은닉층에 층 단계 추가 타임 스텝(timestep) 이..
PatienceLee
Patience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