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독립해야 되는데, 도통 월세와 전세의 개념이 머릿속에 안들오더군요.
그래서 정리해봤습니다.
따라서, 월세는 매달 월세+관리비만 지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세는 월세와 달리 매달 관리비만 지출하게 됩니다.
여기서 잠깐!!, 임대인은 뭐고 임차인은 뭘까요?
간단간단하게, 의미를 다 알아봤는데요. 무엇이 더 우리한테 유리할까요?
막상 비교하려니, 어떻게 해야될까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고등학교 때로 돌아가 수학을 응용해보았습니다.
생소한 단어가 또 나왔네요. 비교 환산 보증금, 쉽게 말해 목돈(현재 우리가 모은 돈)을 의미해요.
앞서 알려드렸듯이 월세는 매달 임대인에게 돈을 지불해야 합니다.
반면에, 전세는 보증금을 왕창내고, 매달 임대인한테 지불할 돈은 없어요.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돈이 3,000만원뿐이라고 가정하면, 우리는 전세에 살려면 대출을 받아야 되요.
그래서 뒤에 설명할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활용하여 대출을 받는다고 가정하고, 대출이자를 1년으로 환산하면 900만원, 한달로 환산하면 75만원으로 계산이 됩니다.
비교해보면, 월세 80만원에 비해 한 달에 5만원, 1년에는 60만원이나 저렴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보통의 경우 전세자금대출이 3억까지 나오지는 않지만, 비교를 위해 수치를 조정하였습니다.
목돈이 없는데, 전세에 살고 싶다면?
이와 같이 주택도시기금의 버팀목전세자금을 통해 대출을 받으시면, 우리도 전세에 살 수 있답니다.
자세한 내용은 가까운 기금수탁은행을 방문하여 확인하실 수 있어요.
*기금수탁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 IBK기업은행, NH 농협, 신한은행
버팀목전세자금_대출 대상
위 조건에 해당하시면 대출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http://nhuf.molit.go.kr/FP/FP05/FP0502/FP05020101.jsp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그렇다면, 월세는 대출이 없을까? 는 의문이 들지요.
월세대출은 주거안정월세대출
버팀목전세대출과 달리, 우대형과 일반형이 있어요. 아래 대출대상을 꼼꼼히 체크하여 가능하다면 우대형을 신청하는 것이 좋겠지요?!!
주거안정월세대출_대출대상
읽어보시고,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http://nhuf.molit.go.kr/FP/FP05/FP0502/FP05020201.jsp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마무리
이상, 독립을 위해 우리가 꼭 알아야하는 용어 및 대출 관련 정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셔 감사합니다. ^^
'재테크 & 부동산 Tip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승계 계약 경험담 (2) | 2020.10.17 |
---|---|
원룸, 고시원, 다중주택 등 이들의 차이점은?? (0) | 202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