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항상 노력하는 PatienceLee의 이끈기입니다.
오늘은 원룸과 고시원 이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추가로, 그 외에 다중주택이며 단독주택 등도
덤으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주거의 구조를 부셔보자!!
1. 단독 주택
일반적인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가정집으로,
단독주택은 일반적으로 한 세대가 단독으로 생활하기 위한 시설 및 규모를 갖춘 주택을 의미하지만 「건축법」에 의한 건축물의 용도로서 단독주택은 일반적인 단독주택 외에도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1. 단독주택: 일반적인 단독주택
2. 다중주택: 다음의 요건 모두를 갖춘 주택
가. 학생 또는 직장인 등 다수인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나. 독립된 주거의 형태가 아닐 것
다. 연면적이 330m2 이하이고 층수가 3층 이하일 것
3. 다가구주택: 다음의 요건 모두를 갖춘 주택으로서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않는 것
가.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지하층을 제외)가 3개 층 이하일 것. 다만, 1층 바닥면적의 1/2 이상을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을 주택 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한다.
나. 1개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지하주차장 면적을 제외)의 합계가 660 =m2 이하일 것
다. 19세대 이하가 거주할 수 있을 것
4. 공관: 공적인 거처로 쓰이는 주택
[네이버 지식백과] 단독주택 (서울특별시 알기 쉬운 도시계획 용어, 2016. 12.,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2. 공동 주택
하나의 건축물의 벽, 복도, 계단 그 밖의 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각 세대마다 독립된 주거생활이 가능한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한다.
1. 아파트: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2. 연립주택: 주택으로 쓰이는 1개동의 바닥면적(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본다.)의 합계가 660m2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 빌라는 건축법에서는 나누지 않지만, 고급 연릭주택을 칭하는 말이라고 한다.
3. 다세대주택: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바닥면적(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본다.)의 합계가 660m2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4. 기숙사: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공동취사 등을 할 수 있는 구조이되,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
[네이버 지식백과] 공동주택 (서울특별시 알기 쉬운 도시계획 용어, 2016. 12.,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3. 원룸(단독 or 공동주택)
- 일반적으로 각 호실을 1개의 실로 만들어 생활하도록 만든 주거형태
- 화장실과 주방시설이 갖춰진 다중주택이나 다가구, 다세대주택을 1개의 실로 꾸민것을 통틀어 원룸이라 명칭한다.
참고. 다세대와 다가구주택의 차이점은?
4. 고시원, 고시텔, 원룸텔....
- 원칙적으로 건축법에서는 고시원, 고시텔, 원룸텔이라는 용어가 없다.
- 현행건축법에서는 고시원은 면적이 1000m2 이상이면 숙박시설로, 그 미만이면 제 2종근린생활시설로 구분한다.
- 고시원은 화장실은 설치가 가능하나, 독립된 주거형태를 갖지 않도록 명시하고 있으므로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못한다.
- 고시텔(=원룸텔) 이라는 것은 욕실과 취사시설이 갖추어진 원룸형 고시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합법화되었다.
참고, 원룸 및 기타 주택과 고시원의 특징 & 차이점
① 보증금이 없다.
② 1일 단위로 생활이 가능하며, 비교적 계약기간이 짧다 / 장기계약시 고시원별로 할인을 해주기도 한다.
③ 가격이 저렴하다. (단, 고시텔, 원룸텔처럼 퀄리티가 올라갈 경우 그 가격은 원룸과 맞먹는다.)
④ 전기세, 수도세, 가스비 등의 관리비가 포함되어 있다.
⑤ 가격과 방의 크기 및 퀄리티는 비례한다.
5. 오피스텔
- 사무실과 주거를 겸한 주택
- 오피스텔을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주택에 해당하므로 유의할 것!!
마무리
이상 주거의 분류 및 각각의 특징, 그리고 원룸과 고시원의 특징 &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이제야 체계가 잡히는 듯 싶네요.
그럼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재테크 & 부동산 Tip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승계 계약 경험담 (2) | 2020.10.17 |
---|---|
[사회초년생의 독립하기]_1단계_월세 & 전세란? (0) | 2019.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