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나 도서관에서 코딩하고, 작업물을 push하려는데 종종 에러가 발생하더군요. 그 중 한 가지 사례에 대해 원인과 해결방법을 소개해리고자 합니다. 문제 git push를 하니 위와 같이 에러가 발생한다. "ssh: connect to host github.com port 22: Connection timed out fatal: Could not read from remote repositoroy. Please make sure you have the correct access rights and the repository exists." 원인 원인 1 git remote의 update가 필요해서 발생할 수 있다. 원인 2 git add remote 시 github 주소를 잘못 입력해서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언어에 비해 자바스크립트는 함수 선언 방법이 참 다양합니다. 그래서 각 상황에 맞게 사용해보고자, 각 선언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named function declaration (명명 함수 선언) function helloJS(){ // 함수 내용 } 가장 대중적인 방법으로, 함수 호이스팅으로 어느 위치에서든 호출할 수 있는 함수이다. 2. anonymous function expression (익명 함수 표현) const myName = function () { // 함수 내용 } 이름이 없이 함수를 변수에 담는 방식이다. 이름이 없는 함수지만,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이름을 변수명으로 추정하여 넣는다. 변수 할당은 호이스팅 되지 않으므로, 할당된 이후에만 실행 가능하다. 3. named..
JavaScript를 공부하면서 에러 문구를 종종 뭘 써야되지 고민하는 일이 많아져 정리하였습니다. 로그인 1. 아이디를 입력하지 않았을 때 "아이디를 입력해 주세요." 2.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았을 때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3. 아이디/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했을 때 "등록되지 않은 아이디이거나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했습니다." 4. 오류로 인한 로그인 실패 "일시적인 오류로 로그인을 할 수 없습니다. 잠시 후 다시 이용해 주세요." 회원가입 1. 아이디를 입력하지 않았을 때 "아이디를 입력해 주세요." 2. 아이디 형식이 아닐 때 "아이디는 X ~ X자로 영문 대/소 문자, 숫자, 특수기호(.)(-)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칙어가 있습니다. 3. 아이디가 중복일 때 "이미 사용 ..
HTML, CSS를 공부하고 나면 그 뒤로 따라 오는 언어가 바로 자바스크립트일 텐데요. 알고 나면 후련한데, 이 문턱을 넘기가 참 어렵더라구요. 정리 시작합니다. 정의 Javascript는 넷스케이프에서 처음 만든 언어로, HTML과 CSS만으로는 정적(static)인 웹 페이지에 동적(dynamic)인 요소를 부여한 언어입니다. 처음 출시 당시 이름은 모카(Mocah)였으며, 이후 라이브스크립트(LiveScript)로 변경되었다가 최종적으로 현재의 자바스크립트(Javascript)가 되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와 함께 거론되는 언어로 자바(Java)가 있습니다. 두 언어의 기원은 모두 C언어로 같습니다. 그래서 모든 문장 끝에는 ";"를 기입합니다. 하지만, 이외에 자바스크립트와 자바는 관련성이 없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다보니, 비밀번호 정규 표현식을 작성해야 하는 일이 생겨서 각 조건에 따른 정규 표현식을 정리해둡니다. 비밀번호 정규 표현식 최소 8 자, 최소 하나의 문자 및 하나의 숫자 : "^(?=.*?[A-Za-z])(?=.*?\d)[A-Za-z\d]{8,}$" 최소 8 자, 최소 하나의 문자, 하나의 숫자 및 하나의 특수 문자 : "^(?=.*[A-Za-z])(?=.*\d)(?=.*[$@$!%*#?&])[A-Za-z\d$@$!%*#?&]{8,}$" 최소 8 자, 대문자 하나 이상, 소문자 하나 및 숫자 하나 : "^(?=.*[a-z])(?=.*[A-Z])(?=.*\d)[a-zA-Z\d]{8,}$" 최소 8 자, 대문자 하나 이상, 소문자 하나, 숫자 하나 및 특수 문자 하나 이상 : // 방..
WEB 공부를 시작하면서, HTML과 CSS는 기본 중에 기본 모르면 안되는 언어로 이렇게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필수적으로 접하는 언어 지금 시작합니다. HTML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줄임말입니다. 우선 마크업 언어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면 마크업 언어는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입니다. 여기서, 태그는 원래 텍스트와는 별도로 원고의 교정부호와 주석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용도가 점차 확장되어 문서의 구조를 표현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습니다. 하이퍼 텍스트는 독자가 한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즉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를 말합니다. 이 둘을 합쳐 팀 버너스 리가 HTML 언어를 창시했습니다. HTML ..
WEB 공부를 하면서 FrontEnd, BackEnd에 대해서는 자주 듣게 용어였습니다. 매번, 찾아보기 보다는 확실히 정리해두고 싶어 이렇게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정의 사전 정의로 살펴보면 FrontEnd는 프로세스의 처음, BackEnd는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를 말합니다. 우리가 늘 사용하는 WEB에서 바라보면 FrontEnd는 웹를 비롯한 Android, iOS, 임베디드 등에서 모두 사용하는 용어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부분을 말합니다. BackEnd는 사용자 눈에는 직접 보이지 않지만,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나 각종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을 말합니다. 이 둘은 땔래야 땔 수 없는 사이로 언제나 상호작용합니다. 사용 언어 FrontEnd - HTML(HyperText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