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디심기의 척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로 contribution 이지요.
그런데, PC를 새로 셋팅하면서부터 이전에는 잘찍히던 contribution이 안찍히길래, 원인을 찾아보았습니다.
아직... 멀고도 먼 잔디심기 여정... 익숙해져야 할텐데, 학업과 병행하다보니 쉽질 않네요.
그럼 서론은 이 정도에서 마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우선, 3일에 걸쳐 테스트한 결과 원인은 단순했습니다.
기존에 github 연결전에 user.name과 user.email을 설정했었는데
새로운 폴더를 만들고 지역 저장소를 설정하다보니 해당 설정이 제대로 안들어간 것 같더군요.
해당 설정내용은
git config --list
라는 명령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한데요. 이전에 한번 설정을 했었기 때문에, list에서는 정상적으로 user.name과 user.email이 들어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작 github에 push를 했을 때에는 폴더가 안올라가는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원인이 폴더를 push해서 그런 것 같아 일반 텍스트 파일도 시도했었는데요. 이 경우에는 문제가 없더라구요.
폴더는 업로드하는 텀이 긴가? 라는 생각에 하루정도 텀을 두고 관찰해보았는데, 역시나 폴더는 contribution이 안찍혀 있었습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user.name과 user.email을 한번 더 설정을 해주었는데요.
# user.name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할 username]"
# user.email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할 email]"
그랬더니 폴더도 이제야 정상적으로 contribution이 찍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결론,
지역 저장소를 새로 만들었다면,
user.name과 user.email도 다시 한번 설정해주자.
오늘도 하나 알아갑니다.
그럼 오늘도 즐거운 코딩!
'코딩 | 개념 정리 >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push / pull이 안되는 경우(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0) | 2022.03.13 |
---|---|
vi 편집기 정리 (0) | 2022.01.26 |
GIT 기초 사용법 3_원격 저장소 (0) | 2021.07.14 |
git의 원리 분석 도구_gistory 사용법 (0) | 2021.07.13 |
git 무료 참고 도서 (0) | 202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