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홈 디렉토리로 이동
$ cd ~
cd ~
2. 새 디렉토리에 [디렉토리명]을 생성
$ mkdir [디렉토리명]
$ mkdir [디렉토리명]
3. [디렉토리명]로 이동
$ cd [디렉토리명]
$ cd [디렉토리명]
4. 부모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cd ..
5. 현재 경로를 출력 // print working directory
$ pwd
$ pwd
6. 디렉토리의 내용을 출력
$ ls
$ ls
7. 디렉토리의 폴더 상세 정보까지 출력
$ ls -l
$ ls -l
8. 디렉토리의 숨김 파일과 디렉토리까지 출력
$ ls -a
$ ls -a
tip: 옵션은 합쳐서 ls -al 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9. 하위 디렉토리 [디렉토리명]까지 삭제 // 삭제하려는 디렉토리보다 상위디렉토리에 위치하여야 함.
$ rm -r [디렉토리명]
$ rm -r [디렉토리명]
10. vi 편집기로 [파일명.확장자명] 파일을 작성
$ vim [파일명.확장자명]
$ vim [파일명.확장자명]
11. 터미널 창의 내용을 삭제
$ clear
$ clear
12. 터미널 창을 종료
$ exit
$ exit
13. 깃 환경에서 사용자 이름을 [사용자명]으로 지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명]"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명]"
14. 깃 환경에서 사용자 이메일을 [사용자이메일명]으로 지정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자이메일명]"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자이메일명]"
15. 현재 위치에서 지역 저장소를 생성
$ git init
$ git init
16. 깃의 상태를 확인
$ git status
$ git status
17. [파일명.확장자명]을 스테이지에 올림.
$ git add [파일명.확장자명]
$ git add [파일명.확장자명]
18. 커밋 메시지 [메시지명]을 붙여 커밋
$ git commit -m "[메시지명]"
$ git commit -m "[메시지명]"
19. 메시지 [메시지명]을 붙여서 스테이징과 커밋을 동시에 진행
$ git commit -a -m "[메시지명]"
$ git commit -a -m "[메시지명]"
$ git commit -am "[메시지명]"
$ git commit -am "[메시지명]"
20. 커밋 정보를 확인
$ git log
$ git log
21. 최근 버전과 작업 폴더의 수정 파일 사이의 차이를 출력
$ git diff
$ git diff
22. 지정한 커밋 해시로 이동
$ git checkout [커밋 해시]
$ git checkout [커밋 해시]
23. 가장 최근 커밋을 취소
$ git reset HEAD^
$ git reset HEAD^
24. 지정한 커밋 해시로 이동하고 커밋을 취소
$ git reset [커밋 해시]
$ git reset [커밋 해시]
25. 지정한 커밋 해시의 변경 이력을 취소
$ git revert [커밋 해시]
$ git revert [커밋 해시]
26. 새로운 브랜치 [브랜치명]을 생성
$ git branch [브랜치명]
$ git branch [브랜치명]
27. [브랜치명]으로 체크아웃(이동)
$ git checkout [브랜치명]
$ git checkout [브랜치명]
28. 커밋 로그에서 한 줄에 한 커밋씩 출력
$ git log --oneline
$ git log --oneline
29. 수정한 전체 파일을 스페이지에 올린다.
$ git add .
$ git add .
30. 커밋 로그에 각 브랜치의 커밋을 그래프로 표시
$ git log --branches --graph
$ git log --branches --graph
31. [브랜치명]을 master 브랜치와 병합 //
$ git merge [브랜치명]
$ git merge [브랜치명]
$ git merge [브랜치명] --edit // 병합 후 바로 vi 편집기가 나오면서 커밋 메시지 수정 가능
$ git merge [브랜치명] --edit // 병합 후 바로 vi 편집기가 나오면서 커밋 메시지 수정 가능
$ git merge [브랜치명] --no-edit // 커밋 메시지 수정없이 바로 병합.
$ git merge [브랜치명] --no-edit // 커밋 메시지 수정없이 바로 병합.
32. 터미널 창에서 [파일명.확장자명]의 내용을 확인
$ cat [파일명.확장자명]
$ cat [파일명.확장자명]
33. 디렉토리를 만드는 동시에 지역저장소 생성
$ cd init [디렉토리명]
$ cd init [디렉토리명]
34. 현재 커밋을 다른 브랜치에 있는 [커밋메시지] 커밋으로 되돌림.
$ git reset [커밋메시지] [커밋해시]
$ git reset [커밋메시지] [커밋해시]
35. 병합이 끝난 [브랜치명]을 삭제
$ git branch [브랜치명] -d
$ git branch [브랜치명] -d
36. 작업 트리의 수정 내용을 따로 보관해서 감춤.
$ git stash
$ git stash
$ git stash save
$ git stash save
38. 보관한 내용을 목록을 출력
$ git stash list
$ git stash list
39. 보관한 내용을 저장
$ git stash apply
$ git stash apply
40. 보관한 내용 중 가장 최근 항목을 삭제
$ git stash drop
$ git stash drop
41. 따로 보관했던 수정 내용을 꺼내옴.
$ git stash pop
$ git stash pop
42. 원격 저장소에 연결
$ git remote add origin [저장소 주소]
$ git remote add origin [저장소 주소]
43. 원격 저장소에 연결됐는지 확인
$ git remote -v
$ git remote -v
44. 지역 저장소의 커밋을 맨 처음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경우
$ git push -u origin master
$ git push -u origin master
45. 44번을 한 후에 지역 저장소의 커밋을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경우
$ git push
$ git push
$ git push origin master
$ git push origin master
46. 원격 저장소의 커밋을 지역 저장소로 가져옴.
$ git pull
$ git pull
$ git pull origin master
$ git pull origin master
47. SSH 키를 생성함.
$ ssh-keygen
$ ssh-keygen
1. 공동 작업자 컴퓨터에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2. 첫번째 커밋이 아니라면 풀 먼저하기
$ git remote remove origin
48. 원격 저장소를 [지역저장소명]에 복제하기
$ 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 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49. 원격 저장소의 커밋을 가져오기만 하고 병합하지 않는다.
$ git fetch
$ git fetch
50. 패치로 가져온 정보가 있는 브랜치[FETCH_HEAD]로 이동
$ git checkout FETCH_HEAD
$ git checkout FETCH_HEAD
51. 패치로 가져온 정보가 있는 브랜치[FETCH_HEAD]를 master 브랜치에 병합한다.
$ git merge FETCH_HEAD
$ git merge FETCH_HEAD
52. [브랜치명]을 만드는 것과 동시에 체크아웃한다.
$ git checkout -b [브랜치명]
$ git checkout -b [브랜치명]
53. 원격 저장소에 [브랜치명]의 브랜치의 커밋을 올린다.
$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54. 원격저장소 삭제
$ git remote remove origin
$ git remote remove origin
본 내용은 Do it 지옥에서 온 문서 관리자 깃 & 깃허브 입문 책을 공부 후 정리한 내용입니다.
오탈자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댓글 통해 알려주세요 ^^
'코딩 | 개념 정리 >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기초 사용법 2_브랜치 (0) | 2021.07.13 |
---|---|
Git 기초 사용법 1_버전 관리와 커밋 (0) | 2021.07.05 |
[Git] git add 에러 메시지 (0) | 2021.07.05 |
Github 디렉토리, repositories 삭제하는 방법 (0) | 2021.02.15 |
Git bash의 홈 디렉토리 변경하는 방법 (1) | 2021.02.13 |